Paper/Clinical

염증질환 예방을 위한 메디푸드 임상내용

2020-12-31
조회수 2172

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이용제 교수
2020년 11월 ~ 2021년 5월


연구 방법: 

  •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이 있는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(총 80명) 오메가-3:6 지방산 비율 강화 식품 투여군(40명)과 일반 식품 투여군(40명)에서 염증지표(WBC, hs-CRP), 심혈관 대사지표(혈압, 맥박, BMI, 허리둘레, NVAI, insulin, glucose, AST, ALT, GGT, lipid profile, fatty liver index, Omega-3 index), 삶의 질 및 장내세균총의 개선의 지표 평가를 통해 오메가-3:6 지방산 비율 강화 식품 투여군의 항염효과와 장내세균총에 미치는 영향과 기전을 규명하고자 함.

<그림1. 연구의 개념적 틀>


  1. 프로그램 진행 -14~0일 : 무작위 배정을 통해 임상연구로 오메가-3 지방산 강화 식품 투여 군과 위약(일반식품) 투여 군 두 그룹으로 나눔
  2. 프로그램 진행 0일 : 신체 계측, 혈액검사, 장내세균총 검사를 시행함. 오메가-3 지방산 강화 식품 투여군 및 위약 복용을 교육함.
  3. 프로그램 진행 56일 (8주 ± 5일): 신체 계측, 혈액검사, 장내세균총 검사를 재측정함.


기대성과 및 활용분야:

[1차년도] 

  • 임상의학의 관점에서 볼 때, 심혈관질환의 위험도의 군집 개념인 대사증후군 환자에서 오메가-3:오메가-6 지방산 균형 강화 식품 섭취를 통해 염증 및 심혈관 대사지표의 개선 및 유익한 장내세균총의 변화를 규명함으로써 심혈관질환과 대사질환의 위험도가 높은 환자에 유용한 음식 치료의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 
  • 농업의 관점에서 볼 때, 오메가-6 지방산의 함량을 높이는 옥수수 사료에서 벗어나 오메가-3 지방산을 강화하여 4:1 미만의 비율을 갖는 신 사료 개발과 오메가 -3: 오메가 -6 지방산 균형 강화 식품 개발을 포함한 농축산 산업에 기여하는 중개 연구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됨


본사 : 충청북도 충주시 주덕읍 주덕농공길 53

TEL : 043-848-3140

FAX : 043-857-2546

E-MAIL : green-grass@naver.com


COPYRIGHT© 2021 GREEN GRASS BIO CO., LTD. ALL RIGHTS RESERVED.